분류 전체보기19 탄소세 (carbon tax) 기업들의 CO2배출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량 기준을 정하고 이를 넘는 사용분에 대해서 부과하는 세금으로 지구 온실요과의 주의 원인 물질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배출량 기준을 정하고 초과분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거둬들이 세금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사용하려는 목적이 있다. 2022. 1. 12. 대량보유(변동)보고(5%공시 룰) #지분공시제도 상장사 지분공시제도는 상장주식 등의 변동 정보를 신속하게 공시토록 하여 회사내부자의 미공개정보 이용을 예방하고 적대적 M&A에 합리적 경영권 방어 등 기업지배권 시장의 투명성 제고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법률 지분공시제도'에 따르면 지분공시제도는 대량보유(보유)보고와 임원.주요주주의 주식소유상황보고(소유주식보고)로 구분된다. #대량보유변동보고(5%) 본인과 특별관계자의 소유분을 합하여 주권상장법인 또는 협회등록법인의 주식 등을 5%이상 보유하게 된 자는 그날부터 5일 이내에 그 보유상황을 금감위와 거래소 또는 협회에 보고(최초보고)하고 이후 보유주식이 1%이상 변동하는 경우에는 변동일로부터 5일 이내에 금융감독원과 증권거래소 혹은 코스닥위원회에 보고(변동보고).. 2022. 1. 11. 바텀업 VS 탑다운 투자 바텀업과 탑다운 투자는 주식투자 방법중 하나로 기업을 분석하는 방식이 상향식이냐 하향식이냐 입니다. #바텀업(Bottom up) 방식 상향식 투자이며 특정 종목의 내재적 기업가치를 분석한 후 거시 경제를 분석하는 투자 방식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OO주식회사의 가치를 우선 분석하고 앞으로의 경제 분석을 통해 투자하는 걸 말하는데요, 기업을 분석하고 투자하는 것이다 보니 단기적인 관점 보다는 장기로 가치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하는 투자 방식입니다. 기업의 전반적인 깊은 이해가 필요한 투자방식이라 분석하고 통찰하고 배팅하는 과정에 시간이 소요기도 합니다. #탑다운(Top down) 방식 하향식 투자이며 거시경제와 산업분석을 우선하고 유망산업을 찾아 낸 후에 분석을 통해 기업을 찾아내는 투자 방식입니다. .. 2022. 1. 11. 기업 임원/ 전문경영인 CEO (Chief executive officer) : 기업에서 이사회의 주재 기업 방침의 결정, 장기계획 작성 등과 관련하여 총괄적인 책임을 가지는 최고경영자로, 통상적으로는 기업의 회장이 CEO를 겸임하고 있다. COO (chief operaing officer) : 최고운영경자로 기업 내부의 사업을 담당하는 총괄책임자로 일반적으로 사장이 맡는다. CCO (chief or customer officer) : 고객담당 최고책임자로 고객 전 부문에 대한 총괄적 권한과 책임을 지는 자리다. CFO (chief financial officer) : 최고재무책임자로 경리, 자금, 원가, 심사 등 재경 부문의 조직을 하나로 통합하여 이를 총괄하는 역할을 한다. CGO (chief green officer) :.. 2022. 1. 11. 이전 1 2 3 4 5 다음